개발도상국의 외채문제

졸리운_곰 2019.01.27 23:53 조회 수 : 465

개발도상국의 외채문제

1. 序論


1982년 멕시코의 외채상환중단으로 따라 촉발된 개도국의 외채위기는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진정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국제자본시장에서 개도국의 신용도가 회복되는 가운데,  남미의 주요채무국들에 대한 민간차관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1994년말 멕시코가 다시금 페소화 위기를 겪게 되면서 외채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우려도 만만치 않다.  한국의 경우에도 1995년말 현재 외채총액이 800억달러에 달하고 있어 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1)

개도국의 외채문제는 국제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남북관계를 악화시킬 개연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문제가 호전되었다고 하지만,  이것이 일시적인 국제환경의 변화를 반영하는지, 또는 구조적 조정의 결과로 나타난 것인지는 아직 명확치 않다. 또한 개도국 외채위기가 진정된 것은 주로 소득수준이 양호한 경우에 국한될 뿐,  동구권이나 아프리카의 저개발국가들은 여전히 자본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외채위기는 국가간 대부가 안고 있는 위험성을 단적으로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개도국에 대한 차관은 대부분 정부가 보증을 서고 있다.  따라서 개도국의 대외부채는 민간차관일지라고 사실상 국민경제전체의 부채(sovereign debt)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무가 반드시 이행된다는 보장은 없다.  국가와 국가간의 자본거래에 존재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채무불이행의 경우에 이를 강제로 이행토록 할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데에 있다.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국제자본이동에 갖는 의미에 대한 Eaton․Gersovitz (1981)의 선구적 연구이후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불확실성하에서의 채무불이행에 대한 초기 연구들은 대출총액의 제한, 채무기한의 단축,  은행대출의 채권발행에 대한 우위,  극빈개도국에 대한 대출기피 등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Sachs and Cohen (1982),  Cooper and Sachs (1985),  Kletzer (1984)). 1980년대 중반이후 외채위기가 본격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논의의 대상으로 바뀌었다.  특히 개도국의 외채부담이 개도국의 경제성장을 저해하는가의 여부와 국제적으로 외채위기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처할 것인가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Bulow and Rogoff (1988),  Kenen (1989),  Krugman (1989),  Sachs(1989,  1990),  Rogoff (1990)).2)

1980년대의 외채위기는 개도국들의 채무상환능력과 채무불이행, 그리고 채무경감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도 할 수 있다.  채무불이행과 채무경감은 복합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다. 채권자의 입장에서 보면 채무경감은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려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채무상환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만 설득력을 가질 것이다. 채무자의 입장에서 채무불이행을 하나의 실행가능한 대안으로 간주하고 있다면, 채무경감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채무가 상환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채무불이행과 채무경감간의 연관성은 외채위기의 와중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Kenen (1989)는 예외). 

본 논문은 채무불이행과 채무경감에 대하여 일관된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개도국 외채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후적으로 외채위기의 교훈을 검토하는 것은 향후 재발가능성에 대하여 대처하고, 국제자본시장의 안정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다.  문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 이렇다할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도국외채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다음과 같이 3가지 문제에 중점을 두기로 한다.  첫째, 1980년대 개도국 외채위기는 왜 발생하였는가?  둘째, 외채위기가 진정되었다면 그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개도국 외채문제해결을 위하여 국제적으로 어떠한 협력방안이 필요한가?

1980년대초 개도국의 외채위기는 높은 국제이자율과 개도국의 경상수지적자로 채무상환부담이 갑자기 크게 증가한 것이 그 원인으로 지적된다.  본 논문은 실증분석을 통하여 채무상환능력의 약화가 외채위기의 근본적인 결정요인이라는 점을 밝히고, 지속적인 자본시장에 대한 접근자체가 채무이행의무를 수행케 하는 담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외채경감에 대한 실증분석은 채무국의 상환능력이 역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었음을 시사한다.  향후 개도국 외채문제의 해결은 일차적으로 채무국들이 채무상환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경제개혁에 달려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정을 무리없이 추진하려면 선진국시장에 대한 수출의 지속적 증대와 국제이자율의 안정이 중요한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절에서는 1980년대 개도국 외채위기의 발생과 최근 진전상황을 검토한다.  제 3절에서는 채무불이행과 외채경감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고, 그 시사점을 살펴본다. 제 4절에서 실증분석을 통하여 채무불이행과 외채경감의 결정요인을 규명한다. 제 5절에서는 주요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맺는다.


2.  開途國 外債問題의 背景과 展望


(1) 外債危機의 發生


1982년 멕시코의 외채상환불능사태로 야기된 개도국의 외채위기는 국제금융시장을 일대혼란속에 빠뜨렸다. 멕시코는 중앙은행의 외환보유부족으로 더 이상 외채에 대한 원리금상환이 불가능하다고 선언하였다.  멕시코의 당시 외채는 800억달러수준으로 브라질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였다.  멕시코는 선진국정부의  차관제공 및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요청하는 한편,  원리금상환의 동결 및 지연 등을 요구하였다. 

멕시코가 외채상환에 대한 협상을 진행시키는 동안 여타개도국들은 국제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융통하는 것이 힘들게 되었다.  상환불능사태를 우려한 선진국들의 금융기관들이 개도국에 대한 대출을 기피하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한 대외금융의 부족으로  많은 개도국들은 외채상환이 불가능하게 됨에 따라 1980년대 중반에는 우려하던 대로  대규모 외채상환불능사태가 현실로 나타나게 되었다. 

멕시코를 비롯한 남미국가들의 외채문제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둘러싸고 여러가지 주장이 있다.  낙관론자와 비관론자사이에는  외채문제가 기본적으로 일시적인 유동성부족(illiquity)의 문제인가, 또는 파산과 같은 지불불능(insolvency)의 문제인가에 대하여 논란이 지속되었다. 그 판단은 간단치 않으므로, 일단 거시경제적 관점에서 외채위기의 원인을 보도록 하자 (Krugman and Obstfeld (1994)).

개도국의 외채위기는 우선 국제금리의 상승과 달러화의 상승으로 인하여 채무부담이 급증한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1979년 제 2차 석유파동의 와중에서 미국은 물가안정을 위하여 강력한 통화긴축정책을 추구하였다. 그 결과 국제금리는 크게 상승하였고,  세계경제는 경기침체를 겪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이자율 상승은 외채에 대한 이자지급부담을 크게 증가시켰다.   한편 미국의 금리상승은 미국달러화의 가치를 상승시켰다.  이는 국내통화가치로 환산한 윈리금상환금액을 증가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부정적인 충격에 직면하여 대부분의 개도국들은 이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파악하여 새로운 외채를 통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초 세계경제의 침체는 개도국의 수출을 위축시켰고,  개도국들의 경제성장은 둔화되었다.  이는 외채상환을 어렵게 한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남미나 아프리카국가들은 주요수출품이라고 할 수 있는 1차산품의 가격이 하락한 것도 큰 타격이 되었다.

개도국들의 점증하는 외채부담에 직면하여 국제금융기관들은 철저히 자신의 이윤극대화원칙에 충실하였다.  즉 이들은 개도국의 외채문제가 일시적인 유동성부족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보다는 구조적인 지불불능사태라고 파악하였고,  이에 따라 개도국들의 신용도를 낮게 재평가하였다.  또한 외채에 대한 노출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도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표 1>             개도국전체의  장기 순자원유입 및 이전

                                                                    (단위: 10억달러)

������������������������������������������������������������������������������������������������������������������������������������������������������������������������

항목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

순자원유입       101.4    91.0   71.9    63.3   60.4   54.7   51.5   66.4   70.9   81.5

 공적개발원조     35.1    35.3   33.9    33.3   34.1   36.0   30.0   37.6   40.1   49.3

 민간대출         53.3    44.5   29.3    21.5   15.2    9.2    2.1    9.5    7.4    7.1

 직접투자         13.0    11.2    8.6     8.4   10.6    9.6   13.5   19.6   23.6   25.2


순자원이전*       46.5    29.2   13.6    -0.2   -4.6   -7.3  -12.4   -5.8   4.0   16.0

������������������������������������������������������������������������������������������������������������������������������������������������������������������������

주:  * 신규대출 - 총외채서비스지출 - 기타자본유출  (Net Resource Transfer) 

자료: World Bank, World Debt Tables, 1991-92, p. 18.


그 결과  개도국에 대한 자본유입은 급속히 냉각되기 시작하였다.  <표 1>은 1980년대 개도국에 대한 순금융자원이전(net resource transfer)의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순금융자원이전은 새로운 차관에서 원리금상환액과 기타자본유출액을 제한 금액을 의미한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1984-1988기간중에는 개도국에 대한 자본유입이 부의 값을 기록하고 있다. 


(2) 外債危機에 대한 對處


1982년이후의 외채위기는 역사상 가장 광범위하고 심각한 것이었다.  1930년대 대공황의 여파로 남미국가들은 외채위기를 경험한 바 있다.  1970년대에 와서야  개도국의 외채가 큰 폭으로 증가하다가,  다시금 위기를 봉착하게 된 것이다.  대부분의 개도국들은 새로운 차관을 확보하기가 극히 어려운 가운데,  기존차관에 대한 윈리금상환을 늦추기 위한 협상에 주력하였다.  1984년 이후 평균 21건의 재조정(rescheduling)이 이루어졌다.  1982-91 동안의 10년간 총 114개 개도국 중 52개국이 대상에 포함되었다.3)  대부분 윈리금상환을 제때 이행하지 못하고 외채부담이 가중되다가, 결국 채권자들과 상환시기연기를 공식화하는 절차를 밟았다 (World Bank 1992, p. 46).

개도국의 외채위기는 주요선진국들의 금융기관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었다.  그것은 어느 한 은행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었고,  단독으로 해결할 수도 없었다.  만약 개별은행들이 모두 새로운 차관제공을 중단하고,  원리금상환을 고집할 경우 채무국들은 상환의무를 포기하여 금융기관 전체의 붕괴로 연결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실제로 몇몇 주요금융기관의 경우 개도국에 대하여 제공한 차관의 규모가 자본금보다도 더 클 정도로 재무구조가 취약하였다. 

금융기관들은 내키지 않더라도 새로운 차관을 제공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채권기관들은 개도국들의 원리금상환을 단기적으로 연기하여 주는 한편, 새로운 장기차관을 제공하였다.  국제통화기금은 상업은행들이 새로운 차관을 제공하는 대가로 채무국들이 상환능력을 제고할 것을 권고하였다.  1983년까지 브라질, 칠레, 멕시코, 페루, 우루과이, 유고 등 주요채무국에 대한 포괄적인 협상이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세계경제가 계속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자,  구제금융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개도국들의 상환능력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개도국들에게는 외채상환협상을 재추진하여야 할 필요가 생겼다.  또한 개도국과 선진국 금융기관의 자발적인 협조에만 의존하기보다 국제적인 정책협조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1985년 미국 재무장관인 베이커의 주도하에 추진된  베이커 플랜(Baker Plan)은 국제적인 공적차관제공을 통하여 금융기관에 의한 구제금융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베이커 플랜은 외채부담이 가장 큰 17개국을 대상으로 상업차관 및 공적차관을 통하여 성장위주의 정책개혁을 뒷받침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4)

베이커 플랜의 성과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견해가 우세하다 (Sachs (1990)).  새로운 구제금융의 제공은 목표치에 크게 미달하였을 뿐 아니라,  개도국의 이자지급의무를 이행하는 데에도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베이커 플랜의 결점으로는 무엇보다도 개도국 외채문제를 단순히 유동성부족에 기인한다고 간주하였고, 궁극적으로 외채는 모두 상환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는 것이다. 유통시장에서 개도국 채권가격이 큰 폭으로 할인되고 있었던 것은 개도국의 외채가 모두 상환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업은행들은 새로운 차관제공에 대한 요구에 쉽게 응하지 않은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World Bank 1992, p.51).

한편 상업은행들은 개도국외채로 인한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이를 손실로 인정하는 적극적인 경영전략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재무구조는 상대적으로 건전하여진 대신,  對개도국 대출에 대해서는 신중한 자세를 취하게 되었다.  상업은행의 대출이자율이 차별화된 것도 공동보조를 어렵게 한 이유중의 하나였다.

베이커 플랜이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가운데 개도국과 채권은행간에는  외채경감을 위하여 외채의 재구매(debt buyback)와 외채와 주식간의 교환(debt-for-equity swap) 등 다양한 수단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개별은행들은 제각기 여타은행들이 외채경감을 추진할 경우 얻게 될 반사이득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는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하였다.5)   

1989년 미국의 재무장관 브래디는 다자간 협상에 의한 외채경감에 중점을 둔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브래디 플랜(Brady Plan)은 경제개혁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른 개도국들에게 국제통화기금이나 세계은행과 같은 국제기구가 외채경감을 위한 공적차관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적차관은 외채 구매나 새로운 채권과의 교환에 사용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업은행들에게는 외채경감 및 새로운 차관 등 개도국과 다양한 협조방안을 모색하도록 권고하였다.


<표 2>          주요채무국의  외채상환연기 및 외채경감 추세 

                                                                (단위: %)

����������������������������������������������������������������������������������������������������������������������������������������������������

연도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

상환연기액/    16.5    9.8   26.3    15.4    3.9    13.2    2.2     4.4    4.8

 외채총액

외채탕감/       0.0    0.0    0.0     0.0    0.2    0.0     0.6     0.0    0.0

 외채총액

외채경감/       0.3    0.4    0.9     3.0    3.3     4.6    0.8     2.7    0.9

 외채총액

재구매/         0.0    0.0    0.0     0.1    0.5     0.8    0.1     1.4    0.1

 외채총액

����������������������������������������������������������������������������������������������������������������������������������������������������

총외채(US$B) 456.4  482.6  528.7   506.8  501.7   528.2  531.0   547.2  574.3

����������������������������������������������������������������������������������������������������������������������������������������������������

주:  베이커 플랜에 포함된 17개 개도국을 대상으로 함 (<표 3> 참조). 

자료: World Bank, World Debt Tables 1994-95.


브래디 플랜은 채무자와 개별 채권자사이의 직접적인 협상이 자발적인 외채경감을 촉진하는 데 효율적일 것이라는 가정하에 국제금융기관에 의한 공적원조를 그 담보로 활용하려 하였다.   1989년 멕시코 외채에 대한 협상의 결과 개별은행들은 외채의 명목금액을 35% 탕감하여주든지, 이자율을 낮추는 조건으로 기존 외채를 30년만기 차관과 교환하는 데 동의하였다.  외채경감을 통한 상환능력 제고라는 접근방식은 외채부담이 큰 여타개도국들에게도 적용되었다. 


(3) 外債問題의 現況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개도국에 대한 민간자본유입이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개도국들의 외채부담도 개선되는 조짐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1985년과 1990년을 비교하여 보면  외채부담이 큰 17개 개도국 대부분의 경우 위채문제의 심각성이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수출대비 외채규모가 17개국중 13개국의 경우 감소세로 돌아섰다.  5개국의 경우에는 국민총생산대비 외채규모가 감소하였다.  한편 수출대비 원리금상환부담은 우루과이를 제외한 16개국 전부에서 상당히 줄어들었다.

이제 개도국의 외채위기는 완전히 극복되었다고 볼 수 있는가?  베이커 플랜에 포함되었던 17개국중 세계은행이 여전히 외채부담이 큰 국가로 구분하고 있는 국가는 9개국으로 아직도 절반정도에 달하고 있다.  외채부담이 최근 감소되고 있다고 하나,  절대적인 기준에 비추어 보면 아직 방심하기에는 이르다고 할 수 있다.6)  참고로 한국의 경우를 보면 표에 나타난 여타개도국과는 비교도 되 수 없을 정도로 외채부담지표들의 수치가 낮다.  그것도 1980년만 해도 다른 국가들과 상당한 유사점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더욱 대조를 이룬다. 

1990년대 외채부담의 감소가 브래디 플랜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대답은 역시 부정적이다.  왜냐하면 브래디 플랜에 의한 외채경감이 외채규모가 큰 국가들의 경우에는 신용도에 영향을 주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이다. 개도국에 대한 자본유입이 전체적으로  증가한 것은 무엇보다도 선진국의 이자율이 낮아졌다는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도국에 대한 자본유입에서 외국인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사실은 개도국의 높은 투자수익률에도 불구하고 외채가 안고 있는 채무불이행의 위험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실상 많은 개도국의 경우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접근은 아직도 어렵다. 특히 외국자본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는 동구권의 구사회주의국가들의 경우에는 민간차관은 채무불이행의 위험때문에 제한되고 있다.  채무불이행의 위험성은 개도국의 유동성문제를 악화시킬 소지가 상존한다고 할 수 있다.  

1980년대의 외채위기는 자발적든 비자발적든지간에 채무불이행이 현실적으로 중요한 변수임을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찰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개도국들의 채무불이행이나 외채경감의 차이가 어떠한 요인에 기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 장에서 상세히 고찰하도록 하자. 


<표 3>                   주요 채무국의 외채관련지표

����������������������������������������������������������������������������������������������������������������������������������������������������������������������������������

                     EDT/XGS(%)            EDT/GNP(%)            TDS/XGS(%)

                 1980    1985    1990      1980   1985    1990      1980   1985    1990 

����������������������������������������������������������������������������������������������������������������������������������������������������������������������������������

아르헨티나      242.4    493.2    414.7      35.6    84.2    46.0      37.3    83.2    41.1

볼리비아        258.4    651.3    429.8      93.4   184.9   100.5      35.0    49.5    38.7

브라질          305.1    355.9    320.6      31.3    48.2    24.9      63.1    43.5    24.3

칠레            192.5    436.6    183.0      45.5   143.3    67.9      43.1    53.9    26.4

콜럼비아        110.0    301.7    181.9      20.9    42.0    45.4      15.1    41.9    38.6

코스타리카      220.6    344.1    181.6      59.7   120.0    69.1      28.5    41.0    24.1

코트디브아르    204.5    306.1    461.9      76.9   155.4   195.9      38.7    45.0    34.2

에쿠아도르      201.6    259.5    369.5      53.8    76.7   122.7      33.9    44.9    33.1

자마이카        129.2    285.6    188.1      78.3   222.6   128.3      19.0    44.6    27.3

멕시코          258.1    326.0    196.7      30.5    54.9    44.9      49.3    54.8    21.3

모로코          223.8    394.6    280.3      56.2   146.9    94.3      32.7   146.9    21.0

나이제리아       33.0    142.7    241.7      10.1    21.9   107.3       4.3    38.7    23.6 

페루            194.2    361.1    494.1      47.6    83.2    68.2      44.5    30.2    11.7

필리핀          212.3    331.9    231.7      53.8    83.4    69.0      26.6    32.5    27.2

우루과이        104.1    294.7    242.0      17.0    80.7    72.8      18.8    42.7    45.6

베네수엘라      132.0    201.0    155.       42.1    58.9    70.       27.2    27.0    23.5

유고슬라비아    103.0    129.6     92.0      25.6    48.2    247       20.9    19.6    18.4

����������������������������������������������������������������������������������������������������������������������������������������������������������������������������������

한국            130.6    142.4     45.2      48.7    52.7    13.9      19.7    29.3    10.7

����������������������������������������������������������������������������������������������������������������������������������������������������������������������������������

주:  EDT = Total External Debt (외채총액)

    XGS = Exports of Goods and Service (재화 및 서비스 수출)

    TDS = Total Debt Service (외채원리금상환)

자료: World Bank, World Debt Tables 1994-95,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1993.

3.  債務不履行과 債務輕減의 模型


(1) 債務不履行과 外債


채무불이행의 위험은 차관을 통한 국제자본이동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이다.  국내에서 대부와 달리 국가간의 거래에 있어서는 채무이행을 강제할 수단이 마땅치 않다. 합리적인 투자자라면 이러한 위험을 고려할 것이기 때문에,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상당히 크다면 대부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후적으로 채무불이행이 발생한다는 사실은 대부행위가 채무불이행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불확실성속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기서는  효용극대화를 추구하는 채무자와 위험중립적인 채권자로 구성된 2期間 선택모형을 통하여 채무불이행의 결정요인과 그 시사점에 대하여 생각하여 보자 (Sachs․Cohen(1982) 참조). 

제 1기에 채무자는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기로 하고 외부로부터 대부를 받는다.  제 2기가 되어서 외채상환의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개도국은 원리금을 자신의 소비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아무런 제재도 없다면 채무자는 결코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채권자도 이러한 경우에는 차관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채무불이행의 대가는 추가적인 대부의 거절이나,  무역에 대한 금수조치 등으로 나타난다.  분석의 편의상 국민소득의 일정부분이 상실된다고 가정하도록 하자.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개도국 정부의 목적함수는 다음과 같은 효용극대화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E는 기대치를 나타낸다.


  U = U(C1) + E[U(C2)]/(1+v)    ................................................................... (1)

    Ci : i 기의 소비

    v  : 시선호율(the rate of time preference), 또는 주관적 할인율


제 1기의 소비에 대한 예산제약은 다음과 같다.


   C1 = Q1 + L1 - I1          ....................................................................... (2)

     Qi : i 기의 소득

     Li : i 기의 외채

     Ii :  i 기의 투자


제 2기의 소비는 채무를 이행할 경우(D)와 그렇지 않은 경우(ND)중 더 큰 것으로 결정된다.


   C2 = Max(C2D,  C2ND)  ....................................................................... (3))

     D:  채무불이행(default)

     ND: 채무이행 (no default)


각 경우의 소비는 다음과 같다.


   C2D = (1-s) Q2   ....................................................................................... (4)

     s: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실률


   C2ND = Q2 - (1+r) L1  ............................................................................. (5)


대부와 관련된 불확실성은 제 2기의 소득은 1기에는 알려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제 2기의 소득은 투자를 고려한 잠재적 생산량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주어진다고 가정한다.  잠재적 생산량과 실제생산량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공급충격에 기인한다.

        ∧

   Q2 =  Q + (1+u) I1  ................................................................................... (6)


      ∧

      Q : [(1-x) Q1,  (1+x) Q1]에서 균등분포 

      u : 투자수익률


이제 2기가 되면 소득의 크기가 알려지고, 이에 따라 채무불이행시 치루어야할 대가(s․Q2)의 크기도 확정된다.  채무자는 이를 윈리금상환부담, 즉 (1+r)L1와 비교하여 채무이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제 채권자의 입장에서 대외대출에 대하여 고려하여 보자. 채권자는 대외채무가 불이행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채권자는 위험중립적이기 때문에 개도국에 대한 대출에서 예상되는 수익률이 자국내의 자산에 대한 투자에서 기대할 수 있는 평균수익률과 같을 때에 대출이 이루어 질 것이다.


    (1+r) (1-P) = (1+b) ..................................................................................... (7)

      P: 채무불이행 확률

      b: 선진국 국내자산의 평균수익률


식 (7)은 선진국 내부의 자산수익률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개도국에 대한 대출에 부과하는 이자율은 채무불이행의 가능성이 높을수록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신용도가 낮은 국가일수록  위험부담에 대한 보상이 커질 것이다.

만약에 채무불이행시 지불하여야 하는 대가가 원리금상환총액보다 크면 채무는 반드시 변제될 것이기 때문에 이자율은 국내외가 동일하여 질 것이다(r=b). 그 반대의 경우에는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1이 되므로 대출자체가 불가능하여질 것이다.  현실적으로 관심이 있는 용역은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0과 1사이의 값이 될 경우이다.  제 1기에 있어서 채무불이행의 확률은 다음과 같이 예상되어진다.


              (1+r)L1 - s[(1+u)I1 + Q1(1-x)]     

   P = ������������������������������������������������������������������������������������

        s[(1+u)I1 + Q1(1+x)]- s[(1+u)I1 + Q1(1-x)]


              (1+r)L1 - s[(1+u)I1 + Q1(1-x)]     

     = ������������������������������������������������������������������������������������  

                       2․s․Q1․x


단,   s[(1+u)I1 + Q1(1-x)] < (1+r)L1 < s[(1+u)I1 + Q1(1+x)] .............. (8)


이제 1기로 돌아가서 차입자의 투자 및 차입결정에 대하여 살펴보자.  제 1기에 있어서 투자결정은 소비의 시선호률(v)과  투자수익률(u)의 상대적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소비자들의 시선호률이 투자의 수익률보다 크면,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정반대의 경우도 성립한다.  그러나,  투자가 차관에 대한 선결조건이라면 위 전자의 경우에서도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차입자의 입장에서 최적외채규모는 효용극대화로부터 도출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효용함수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  이때 효용함수가 선형인 경우에는 최적치는 주어진 계수값에 대한 가정에 따라 기계적으로 결정되어진다.  만약 선형이 아닌 경우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유용한 관계를 도출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외채의 크기가 효용극대화로부터 도출되었다는 가정하에 식 (8)을 중심으로 채무불이행의 결정요인에 논의를 집중하기로 한다.  


(2) 債務不履行과 外債危機


채무불이행의 확률은 채무국 경제의 몇 가지 핵심적 지표에 의하여 추론이 가능하다.  식 (7)과 식 (8)을 이용하면  채무불이행의 확률은 함수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7)  또한 소득의 변동폭(x)를 제외한 여타 결정요인들의 부호는 식 (8)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투자가 클수록,  외채규모가 작을수록,  그리고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이 커질수록 채무불이행의 가능성은 작아진다.  한편 공급충격의 규모가 미치는 영향은 불분명하다.

           -      +    ?  -

   P = P(I1/Q1,  L1/Q1,  x,  s)  ....................................................................... (9)


식 (9)는 개도국들의 채무이행이행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검증가능한 가설을 제공하고 있다.


H1: 투자가 증가할수록 채무불이행의 확률은 줄어든다.  만약에 산출량에 관계없이 자본              투입계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경제성장률이 클수록 위험은 줄어든다.8)

H2: 국민소득에 대한 외채규모의 증가는 원리금상환부담의 증가를 의미하며, 채무를 이행치 않        으려는 유인이 증가한다.

H3: 채무불이행에 대한 제재강도가 커질수록 채무불이행의 가능성은 희박하여진다.

H4: 국민소득 변동폭의 증가가 채무불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불분명하다. 이자율에 미치는 영향        을 무시할 수 있다면,  공급충격의 강도가 강해질수록 채무불이행의 확률은 감소한다.


외채위기를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적정수준을 넘어선 상황이라고 정의한다면, 외채위기를  초래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위 명제들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규범적으로 검증된 요인들을 국제협조를 통하여 변화시킴으로써 이러한 위험성을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위에서 논의된 채무불이행의 모형을 이용하여 외채위기 대처수단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채경감이 채권국에게 받아들여지려면,  외채경감이 채무불이행의 확률을 감소시켜 예상되는 원리금상환액(TDS)이 증가한다는 보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만약에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1이라고 하면, 외채를 줄여서 확률을 1이하로 낮추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1보다 낮은 경우에는 항상 이와같은 조건이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9)  따라서 외채경감이 이루어진다면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_

   TDSr = (1-P)(1+r) L1 ....................................................................... (10)


한편 외채규모와 외채경감과의 관계를 보면 채무규모가 작은 나머지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0에 가까울 때에는 외채경감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외채규모가 상당히 커서 채무불이행이 방생할 때에만 외채경감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외채경감과 외채규모는 비례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H5:  외채경감은 투자가 많을수록,  채무불이행에 대한 제재가 클수록, 그리고 외채규모가 클수록       늘어난다.    


              +       +     ?   +

     DR = d(I1/Q1,  L1/Q1,  x,  s)  ................................................................... (10)


한편 채무국이 자신의 채무를 구매하는 경우,  채무를 현재 유통되는 가격으로 할인한다고 하더라도 채무국은 일방적으로 손해를 보게된다.  반면에 채권국은 일방적으로 이득을 보게 된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전체외채의 규모를 L이라고 하고,  이중 Lb만큼을 다시 구매한다고 하자.  이때  채무자가 구매하는 가격은 명목가격에다가 채권자들이 받을 수 있다고 예상하는 확률(1-P)를 곱한 것와 같다.  그러나, 일단 구매가 이루어져 외채규모가 감소하면  채무불이행의 확률은 감소하게 된다(Pb < P).  따라서 채권국들에 대한 원리금상환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_                  _

   TDSb = (1-Pb)(1+r)(L-Lb) + (1-P)(1+r) Lb

                   _                   _

         > (1-P)(1+r) (L-Lb) + (1-P)(1+r) Lb

                   _

         = (1-P)(1+r) L .....................................................................................  (11)


위 식 (11)의 시사점은 다음 가설과 같다.


H6:  시장기능에 맡겨두면 채무당사자에 의한 채무 재구입(buyback)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표 2>를 보면 외채기간중 채무국에 의한 외채의 재구입은 극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렀다.  예를 들어 주요채무국(17개국)의 경우 외채재구입은 1988년에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전체외채에 대한 비율은 1988-91년 기간중 매년 1%를 넘지 않았다.  따라서 외채경감의 수단으로서 그 유용성이 의심된다. 또한 외채경감이 국제자본시장으로부터의 차관조달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것이므로 순수한 시장기능에 의존하였다고 보기 힘들다.  


4.  實證分析


(1) 分析模型과 變數


채무불이행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식 (9)를 다음과 같은 선형모형으로 정의하도록 하자.


              ?      -       -         -         -      +

  YD = C0 + C1 σ + C2 m + C3 RY + C4 POP + C5 g + C6 EDT ....... (12)

    YD : 채무불이행 (P)       σ : 수출변동폭      m :  수입/국민총생산      g:  경제성장률

    RY: 실질국내총생산(로그변환)          POP:  인구(로그변환)            EDT: 외채총액

이론적 모형을 실증분석에 적용하기 위하여 식 (9)의 설명변수(I/Q, L/Q,  x, s)는 다소간의 변형이 불가피하다.  

첫째, 투자는 자본축적을 통하여 생산능력의 확대를 가져온다.  따라서 투자산출계수(I/Q) 대신 경제성장률(g)을 사용한다. 

둘째, 외채는 정부가 상환을 보장한 공공 또는 민간차관을 대상으로 한다.  경제규모에 대한 외채의 비중(L/Q)은 로그변환을 취할 경우,  외채(EDT)와 국민소득(RY)으로 나눌수 있다.  한편 국민경제에 주는 외채의 부담은 인구(POP)가 클수록 작아진다고 간주할 수 있다.

셋째, 실질국민소득의 변동폭(x)대신 수출의 변동폭(σ)을 사용하기로 한다. 그 이유는 개도국의 경우 수출의 변동이 흔히 경기변동의 중요한 원인이 되기 대문이다.  실제로 외채위기의 발생과정에서도  수출부진이 이자율의 증가와 함께 중요변수로 작용하였음을 보았다. 

넷째,  채무불이행시의 손실은 주로 무역제재로 발생한다고 본다. 따라서 국민총생산에 대한 수입규모(m)를 어림치로 사용한다. 

다섯째, 종속변수 YD는 채무불이행의 확률(P)를 지칭한다. 실제로 채무불이행을 어떻게 파악하느냐는 쉽지 않은 문제이다.  사전적으로 채무불이행의 의도가 있는지는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후적으로 원래 계약대로 원리금상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라고 정의할 수 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여기서는 전체외채에서 채무이행일정이 재조정된 금액(비율)으로 정의하였다.

채무경감에 대한 실증분석 역시 식 (12)와 같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종속변수 YR는 채무경감액을 의미하며,  총외채에 대한 비율로서 정의할 수 있다.  설명변수의 부호는 외채규모를 제외하고는 채무불이행의 경우가 될 것이다.  


              ?      +       +         +         +       +

  YR = C0 + C1 σ + C2 m + C3 RY + C4 POP + C5 g + C6 EDT ....... (13)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집단은 횡단면자료와 시계열자료를 결합한 형태를 지니다.  대상국가는 베이커 플랜에 포함된 17개 주요외채국이다. 채무불이행과 외채경감이 발생한다면 이미 외채부담이 일정수준이상에 달하였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들 국가들은 일차적인 관심대상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득수준이나 발전단계에 있어 이들이 동질적이라고 하기는 힘들지만 채무불이행의 유혹이 가장 크다는 점에서 실증분석에 가장 적합한 국가군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외채위기가 진행되는 기간중 전외채에 대하여 채무불이행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일부에 국한되고 있으므로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1보다 작아야 한다는 조건도 만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거시경제자료를 파악하기 힘들고 내전으로 경제상황이 정상적이라고 보기 힘든 유고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기간은 외채위기가 발생한 1981년부터 최근 1993년까지를 포함한다.10)  따라서 표본집단은 16개국 각각에 대한 연도별 관측치(총 208개)로 구성된다. 


(2) 回歸分析


채무불이행의 기본모형, 즉 식 (12)에 대한 회귀분석결과는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채무불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는 현재가 아니라, 모두 1기 전의 값을 취하고 있다.  회귀분석은 추세변수의 포함여부 및 표본에 따라 4가지 경우에 대하여 실시되었고, 모두 최소좌승법(OLS)을 사용하였다.  모형의 전반적인 설명력은 크지 않은데,  그것은 채무불이행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이따금씩 누적된 불균형의 결과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회귀분석결과의 해석은 개별변수의 부호와 통계적 유의성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첫번째 회귀분석(I)은 기본모형에 가장 충실하다.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설명변수들의 부호가 모두 기대하였던 것과 일치한다.  즉 채무불이행은 투자로 인한 경제성장이 빠를수록,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이 클수록, 그리고 채무의 규모가 작을수록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통계적 유의성면에서는 경제성장률과 채무규모만이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시사한다.  채무불이행시의 제재가능성(H3)은 신뢰할 만한 증거를 찾을 수가 없다.  한편 수출의 변동폭(σ)이 커질수록 채무불이행의 확률은 커진다. 그렇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앞절에서의 논의(H4)를 뒷받침한다.        

기본모형의 회귀분석에 추세치를 포함시켜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표 3>의 II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세치(Trend)의 계수는 양의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5%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채무불이행의 확률이 1980년대중에서 증가하였다는 점을 반영한다.


<표 3>                     채무불이행의 회귀분석

��������������������������������������������������������������������������������������������������������������������������������������������������������������������

종속변수                RESCH/EDT                      LOG(RESCH)

설명변수              I              II                 III               IV

��������������������������������������������������������������������������������������������������������������������������������������������������������������������

Constant         -.2608(2.05)     -.3028(2.36)       2.6611(1.66)      2.3468(1.82)

Trend                            .0002(1.83)                      -.0040( .76)

σ(-1)             .0042( .38)      .0080( .71)       -.8033(1.91)      -.8594(2.01)

m(-1)           -.0001( .06)     -.0001( .04)        .0194( .23)       .0188( .22)

RY(-1)          -.0003( .12)      .0004( .17)        .0848( .83)       .0797( .78)

POP(-1)         -.0175(1.26)     -.0195(1.40)        .2306( .90)       .2442( .95)

g(-1)            -.6307(2.15)     -.6006(2.05)     -28.3736(2.53)    -28.7784(2.56)

EDT(-1)          .0387(2.35)      .4027(2.46)        .2487(6.35)       .2526(6.39)

��������������������������������������������������������������������������������������������������������������������������������������������������������������������

  R2                .0652           .0806            .2512            .2533

��������������������������������������������������������������������������������������������������������������������������������������������������������������������

주:   설명변수의 경우 1기전의 관측치를 사용.  괄호안은 t-통계치를 표시.

자료: World Bank, World Debt Tables, 각호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각호


<표 3>의 III과 IV는 종속변수를 채무불이행 금액수준으로 정의하였을 때의 회귀분석결과이다.  이 경우에는 전반적인 설명력이 향상되고 있는데,  수출변동폭(σ)이 예전과 달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날 뿐 기본적으로 결과는  동일하다.  이론적 분석모형에서 수출변동폭의 영향은 불분명하다고 예측된 바 있기 때문에 실증분석의 결과는 이론적 모형과 잘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추세치를 포함시킬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전과 달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건대 채무불이행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경제성장률과 외채규모라고 할 수 있다.  채무변제능력을 분석할 때 흔히 일인당 국민소득을 사용한다(Feder and Just 1977).  본 연구에서 국민소득(RY)와 인구(POP) 대신  일인당국민소득(GDP/POP)을 사용하더라도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외채의 정의를 총외채(EDT)대신 장기민간차관(LPRI)이나  장기공공차관(LPUB)을 사용하더라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표 4>에는 채무경감에 대한 회귀분석결과가 요약되어 있다.  전반적인 설명력은 그다지 크지 않다.  그 이유는 역시 1981-1993 기간중 대부분 대상국가들의 외채에 대한 경감은 기껏해야 몇 차례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종속변수에 대한 관찰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제 2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공기관 및 상업은행들에 의한 외채경감은 1980년대후반에 시도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채경감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은 흥미롭다. 주요결정요인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변수들은 실질국민소득(RY), 인구(POP), 경제성장률(g), 그리고 외채규모(EDT)이다.  즉 일인당 국민소득이 높일수록, 또한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그리고 외채규모가 클수록 외채경감의 확률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외채경감의 경우에도 비율대신에 수준자체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회귀분석의 전반적인 설명력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별 변수들의 부호나 통계적 유의성에서는 변화를 찾아볼 수 없다.   

외채경감에 대한 분석결과는 이론적 모형에서 도출된 가설(H5)을 뒷받침한다.  즉, 외채경감의 확률에 대한 설명변수들의 영향은 채무불이행의 경우와 정반대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국민소득과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채무경감이 커진다는 사실은 이들 국가들의 채무불이행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변수들은 1기 전의 값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간의 인과관계는 명백하다. 즉 외채경감이 경제성장을 촉진하기보다는 경제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들에게  혜택이 주어진다고 볼 수 있다. 


<표 4>                       외채경감의 회귀분석

��������������������������������������������������������������������������������������������������������������������������������������������������������������������

종속변수                REDUCT/EDT                    LOG(REDUCT)

설명변수              I               II                III                IV

��������������������������������������������������������������������������������������������������������������������������������������������������������������������

Constant        -1.7595(1.69)     -.0731(2.43)       -1.7595(1.69)      -1.0196( .90)

Trend                           -.0001(1.50)                         -.0729(1.58)

σ(-1)            -.4616(1.23)     -.0032(1.22)        -.4616(1.23)       -.5647(1.50)

m(-1)           -.0477(1.33)     -.0007(1.38)        -.0477( .64)       -.0488( .66)

RY(-1)           .0014(1.94)      .0013(1.89)         .2142(2.36)        .2048(2.27)

POP(-1)         -.0061(1.89)     -.0058(1.81)         .3375(1.48)        .3625(1.59)

g(-1)             .1355(1.99)      .1318(1.94)       22.6290(2.27)       21.8858(2.20)

EDT(-1)          .0097(2.63)      .0094(2.54)         .2138(6.15)        .2210(6.32)

����������������������������������������������������������������������������������������������������������������������������������������������������������������������

  R2               .0725           .0828              .2089               .2166

����������������������������������������������������������������������������������������������������������������������������������������������������������������������

주:   설명변수의 경우 1기전의 관측치를 사용.  괄호안은 t-통계치를 표시.

자료: World Bank, World Debt Tables, 각호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각호


한편 외채규모가 클수록 채무경감이 커진다는 점은 예상되는 원리금상환과 외채규모가 마치 외채래퍼곡선(Debt Laffer Curve)와 같은 비선형관계를 나타낸다고 해석할 수 있다.  외견상으로는 외채서비스의 부담이 과다한 상황에서 채무경감이 오히려 예상되는 채무상환액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외채경감론자들의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구태여 외채경감을 채무상환능력과 연계시키지 않더라도 채무불이행과의 관점에서 그 유인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3) 外債危機에 대한 示唆點


채무불이행의 회귀분석은 채무불이행이 주로 채무상환능력의 제약때문에 일어난다는 점을 시사한다.  외채규모가 커질수록 외채서비스로 인한 부담을 줄이려면,  수출 및 경제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채무상환을 원래 계약대로 충실히 실행하기가 불가능한 상황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론적 논의와 달리 채무불이행시 채무국이 지불하여야 하는 비용이 실증분석에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것은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한다.  우선, 무역제재나 자산의 압수 등을 효과적인 제재수단으로 상정하는 것이 적절한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본격적인 외채위기이전에 관한 실증분석에 있어서는 수출변동폭이나 무역비중이 중요한 변수로 주목되었다.11)  그러나, 외채위기동안 무역제재와 같은 형태의 정부간 제재조치는 발동되지 않았다.  또한 국민소득의 일정부분이 손실될 것이라는 가정 역시 재고가 필요하다.   

물론 국가간 대부에 있어서 채무이행에 대한 담보가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자본시장에 대한 접근이 채무국으로 하여금 채무이행의무를 수행케 하는 중요요인이 될 수 있다. 국가의 신용도는 비단 민간차관을 유치하는 데 뿐 만 아니라,  직간접투자를 통한 자본유치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방적인 채무불이행에 대한 효과적인 제재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외채위기의 발생으로 한동안 국제자본시장에서의 새로운 차관확보를 어려웠던 것이 그 반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외채위기가 발생하고 나면 투자재원의 확보가 어렵게 되고,  이것이 다시 외채상환능력을 약화시키는 악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  1980년대의 외채위기가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다소 진정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이것이 과연 베이커 플랜이나 브래디 플랜과 같은 국제정책협조에 얼마나 기인하는지는 의심스럽다.  특히 외채경감이  주로 경제성장률이 높은 국가에 집중되었다는 점은 시장기능에 기인한 해결방법은 채무국의 상환능력에 크게 의존할 수 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실증분석에서도 외채경감은 채무불이행의 확률과 직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외채위기가 진정되었다면 개도국의 수출에 대한 국제경제환경의 개선과 직간접투자를 통한 자본유입이 크게 기여하였다는 추론이 가능할 것이다.

외채경감이 투자를 촉진하여 개도국의 채무상환능력을 제고할 것이라는 주장은 현실과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은 외채경감이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보다는 그 반대로 경제성장이 외채경감을 결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적으로 외채위기의 발생과정을 보더라도, 투자 및 경제성장의 악화가 외채위기에 선행하였다. 1980년대초 국제경제환경의 악화가 개도국들의 경제성장을 둔화시켰고, 이것이 채무불이행을 촉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인 외채경감이 외채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    


5. 結論


본 논문에서는 채무블이행과 외채경감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개도국 외채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1980년대초 개도국의 외채위기는  국제이자율의 상승과 경상수지적자가  직접적인 이유가 되었다.  그러나, 채무불이행의 가능성이 간과된 채 무분별하게 도입된 차관으로 인하여 채무변제능력이 악화된 것이 보다 근본적인 이유였다고 할 수 있다.   개도국 외채문제의 해결은 채무국들이 거시경제적 안정속에 경상수지흑자를 실현하면서 경제성장을 얼마나 지속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선진국시장에서의 수요창출과 국제이자율의 안정이 중요한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둘째, 외채상환은  채무상환의 인한 부담과 채무불이행시의 제재라는 상반된 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채무불이행에 대한 실증분석은 실제 개도국의 채무이행지연이 이론적 모형이 예측하는 바대로 설명되어짐을 보여준다.  채무국의 경제성장률이 높고  외채규모가 감소할 수록 채무불이행의 확률은 감소한다.   한편 수출의 표준편차나 수입비중과 같이 채무불이행시 손실을 발생시킬 것이라고 예상된 변수들은 분석결과 별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채무상환능력이 외채위기의 근본적인 결정요인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한다. 동시에 지속적인 자본시장에 대한 접근자체가 채무이행의무를 수행케 하는 담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외채경감에 대한 실증분석은  외채경감이 채무불이행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채권이나 주식교환을 통한 외채경감은 채무상환지연과는 정반대로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증가한다.  1980년대 후반 시장기능에 기초한 외채경감 추진에 있어 채무국의 상환능력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었음을 시사한다. 채무국에 의한 외채 재구매는 채무불이행의 여지를 감소시킴으로써 채무국의 부담을 일방적으로 가중시키게 되므로 현실성이 희박하다.  결국 외채경감은  결국 외채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우월한 국가들에게 국한됨으로써,  전반적인 외채위기에 대처하는 데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

사실 외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협력은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였다.  또한  개도국외채의  청산을 담당할 국제금융기관설립이나  구제금융기금의 창설과 같은 획기적인 제안들이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희박하다고 할 수 있다.  외채위기는 개도국의 외채문제에 대하여 중요한 단서를 제시하고 있다.  개도국의 채무이행 가능성이 제각기 다르게 나타난 것처럼 그 해결책도 국가별로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개도국 외채전체에 대한 일괄적인 경감조치는 국제자본시장의 효율성을 저해할 뿐 아니라,  일부채무국의 무임승차문제를 제기할 것이다.  보다 근본적으로 개도국 외채문제의 핵심은 국가간 채무이행의 보장이 어렵다는 것이다.  채무이행을 위한 강제력이 확보되지 않는 한,  구제금융이나 외채경감은 근본적인 치유책이 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외채상환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공조가 강화되어야 한다는 주장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Eaton (1990)). 

개도국의 외채위기는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위험한 고비를 넘겼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개도국의 외채위기가 소멸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우선 베이커 플랜에 포함되었던 17개국만 보더라도 여전히 외채부담이 과다하다고 분류되는 경우가 9개국으로서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주요외채국의 전반적인 외채부담은 아직도 외채위기가 발생하기 전보다 무거운 편이다.  더구나 외국자본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는 동구권의 구사회주의국가들이나 많은 극빈개도국들은 국제자본시장에의 접근자체가 원천적으로 어려운 형편이다.

외채위기는 국제자본시장에서 공급자의 행태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개도국들은 더 이상 1970년대와 같은 외채의 급격한 증가를 기대하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채무국들은 외채상환능력의 제고를 목표로 정책개혁을 추진하는 동시에, 외채를 대신할 국제금융수단을 적극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Y

< 參  考  文  獻 >


Bulow, Jeremy and Kenneth Rogoff, "A Constant Recontract Model of Sovereign Deb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7, No.1, 1989, pp. 155-178.

Calvo, Guillermo, "A Delicate Equilibrium: Debt Relief and Default Penaltie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in Jacob A. Frenkel, Michael P. Dooley, and Peter Wickham, Analytical Issues in Debt,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989.

Cline, William, International Debt and Systematic Risk,  Policy Analyses in International Economics 4, Washingt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83.

________, International Debt Reexamined,  Washingt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5.

Cooper, Richard and Jeffrey Sachs, "The Borrowing Abroad: Debtor's Perspective," in Gordon W. Smith and John T. Cuddington, ed., International Debt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World Bank, 1985.

Diaz-Alejandro, Carlos F., "Latin American Debt: I Don't Think We Are in Kansas Anymore," Bookings Papers on Economic Analysis 2, 1984, pp.335-403.

Diwan, Ishac and Dani Rodrik, External Debt, Adjustment, and Burden Sharing: A Unified Framework,  Princeton Studies in International Finance, No.73, 1992.

Eaton, Jonathan, "Debt Relief and the International Enforcement of Loan Contracts," Th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4, No.1, 1990, pp.43-56.

Eaton, Jonathan, and Mark Gersovitz, "Debt with Potential Repudiat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Review of Economic Studies, 1981.

Feder, George and Richard Just, "A Study of Debt Servicing Capacity Applying Logit Analysis,"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4, No.1, 1977. pp.25-38.

Kenen, Peter B., "Debt Buybacks and Forgiveness in a Model with Voluntary Repudiation,"  International Finance Section Working Paper No. 89-1, Princeton University, 1989.

Kletzer, Kenneth, "Asymmetries of Information and LDC Borrowing with Sovereign Risk,"  The Economic Journal,  1984, pp.287-307.

Krugman, Paul R., "Financing versus Forgiving a Debt Overhang,"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29, No. 3,  1988, pp. 253-268.

________, "Market-Based Debt-Reduction Schemes," in Jacob A. Frenkel, Michael P. Dooley, and Peter Wickham, Analytical Issues in Debt, International Monetary Fund, 1989.

Krugman, Paul R. and Maurice Obstfeld, International Economics,  3rd ed., Harper Collins, 1994.

Mcfadden, Daniel, Richard Eckaus, Gershen Feder, Vassilis Hajivasssiliou, and Stephen O'Connel, "Is There Life After Debt" An Econometric Analysis of the Creditworthiness of Developing Countries," in Gordon W. Smith and John T. Cuddington, eds., International Debt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World Bank, 1985.

Rogoff, Kenneth, "Dealing with Developing Country Debt in the 1990s," World Economy, Vol. 15, No. 4, 1992, pp.475-486.

Sachs, Jeffrey, Theoretical Issues in International Borrowing, Princeton Studies in International Finance, No.54, Princeton University, 1984.

________, “A Strategy for Efficient Debt Reductio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4, No.1, 1990.  

Sachs, Jeffrey and Daniel Cohen, "LDC Borrowing with Default Risk," NBER Working Paper, No. 925, 1982.

Williamson, John, Voluntary Approaches to Debt Relief, Policy Analyses in International Economics 25, Washingt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88.

World Bank, World Debt Tables 1992-93, Vol.1, Analysis and Summary Tables, 1992.




<부록>                   실증분석상의 변수와 자료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매년 World Bank에서 발간된 World Debt Tables과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에서 추출하였다.  주요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RESCH: 공적기관 및 상업은행에 대한 채무(원금 및 이자) 상환시기 연기(Rescheduling).

2. REDUCT: 공적기관 및 상업은행에 의한 채무(원금 및 이자)경감.  스왑이나 환매포함(Reduction).

3. EDT: 총외채잔액(Total Debt Stocks).

4. LPRI: 장기(1년이상 만기) 민간차관(비보장).

5. LPUB: 장기(1년이상 만기) 공공차관(보장). LPRI와의 합이 장기외채(LDOD).

6. σ: 실질수출총액의 로그변환을 취한후,  t-5기부터 t기까지 상수와 추세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행한후, 표준분산치를 사용.

7. m: GDP대비  재화 및 용역의 수입총액 비율

8. RY: 실질국내총생산. 1990년 불변가격 미국달러가치로 환산후 로그변환.    

9. POP: 인구, 로그변환.

10. g: 실질국내총생산의 로그변화을 취한후 (t-5)기부터 t기까지 상수와 추세치에 대하여 회귀분      석을 행한후,  추세치의 계수를 사용.


1) 대외자산을 제외한 한국의 순외채는 180억달러수준으로 경제나 수출규모에 비하여 외채 의 상환부담은 비교적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2) 1980년대와 1990년대 개도국 외채문제에 대한 연구결과에 대한 검토는 Cline(1995)을 참조.

3)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신흥공업국은 제 2차 석유파동이후 차관도입을 줄이고,  수출에 역점을 둔 경제구조조정에 주력함으로써 외채위기를 자발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오히려 외채상환을 충실히 이행한 것이 신용도를 제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시아의 저소득개도국들(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등) 역시 채무상환에 충실하여 상환시기의 연기를 요구하지 않았다 (World Bank, 1992).

4)  베이커 플랜에는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두 17개국이 포함되어 있는데, 원래는 자마이카와 코스타리카를 제외한 15개국이 대상이었다.  이들 대부분 남미국가들이며,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필리핀이 포함되어 있다.   

5) 외채재조정(restructuring)에는 채무이행조건 및 채무부담의 조정이 모구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원리금 상환시한 연기(Rescheduling), 채무탕감(Debt Forgiveness), 채무경감(Debt Reduction)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외채탕감은 대가없는 상환의무의 감면을,  그리고 외채경감은 채권, 주식, 또는 현금 등의 거래를 동반하는 상환부담의 감소를 각각 지칭한다.    

6) 외채부담이 큰 국가(a severely indebted country)는 1991-93 기간중 외채상환금이 GN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80%를 넘거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20%를 초과하는 경우를 지칭함. (World Debt Tables 1994-1995).

7) P의 정확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r)L1/s-[(1+u)I1+Q1(1-x)]       (1+b)/(1-p)L1/s - λ

    P = ������������������������������������������������������  =  ��������������������������������������������

                 2xQ1                           2xQ1

                                                                 

 →  (1-P)P(2xQ1) + (1-p)λ - (1+b)L1/s = 0, (λ = (1+u)I1 + (1-x)Q1).


 →  (2xQ1)P2 - (2xQ1 - λ)P + [(1+b)L1/s - λ] =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xQ1 - λ  - (2xQ1 - λ)2 _ 8xQ1[(1+b)L1/s - λ]

 →  P  = ��������������������������������������������������������������������������������������������������������

                               4xQ1


8) 경제성장률(g)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g = (Q2-Q1)/Q1 = (vK2-vK1)/Q1  = v(K2-K1)/Q1 = vI1/Q1


9) 식 (8)을 이용하여 외채경감이 외채서비스 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보일 수 있다. 이때 이자율은 정해진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1+r)2 L1/s     (1+u)I +(1+x)Q1

  △TDS/△L1 = �������������������������� + ����������������������������������

                     2xQ1           2xQ1        

10) 변수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부록을 참조하기 바란다.    

11) 예를 들어 Eaton․Gersovitz(1981)는 개도국에 대한 신용제약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수출변동, GNP대비 수입비중 및 GNP규모가 개도국의 채무불이행에 대한 손실을 대변한다고 해석하였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 감성마케팅 file 졸리운_곰 2023.03.18 554
32 [경제][국제] ‘아시아 네마리 용’은 잊어라... 대만, 세계 1등 경제로 승천한 비결 file 졸리운_곰 2021.02.28 1958
31 거시경제학의 학파별 개관 file 졸리운_곰 2020.09.25 1085
30 커틀러 前한미FTA 협상대표 "자동차 高관세 등 최악의 통상 시나리오 대비해야" file 졸리운_곰 2019.01.29 4171
29 한은 가상통화TF 폐지…"디지털 통화 당분간 발행계획 없다" file 졸리운_곰 2019.01.29 533
28 경제위기에대한정책에대하여 졸리운_곰 2019.01.28 388
27 경제용어 해설 졸리운_곰 2019.01.28 466
26 경제안보측면에서 고찰한 한국외환위기에 대한 연구 file 졸리운_곰 2019.01.28 580
25 경제성장의 원인과 침체에 관한 고찰 file 졸리운_곰 2019.01.28 1027
24 경제대공황시기의 고용문제 졸리운_곰 2019.01.28 357
23 경제논총에 나타난 경상부문 연구의 경향과 특징 졸리운_곰 2019.01.28 388
22 건설수주를 이용한 건설투자 예측 file 졸리운_곰 2019.01.28 406
21 거시경제학의 학파별 개관 졸리운_곰 2019.01.27 439
» 개발도상국의 외채문제 졸리운_곰 2019.01.27 465
19 감성마케팅 개론 file 졸리운_곰 2019.01.27 373
18 기축통화 환율변동이 연동통화 환율에 미치는 영향 file 졸리운_곰 2019.01.27 1761
17 Q방법론을 이용한 시장세분화 연구 졸리운_곰 2019.01.27 397
16 OECD와 ASEM 개요 및 현황 졸리운_곰 2019.01.27 342
15 KOSPI 200선물시장과 현물시장의 Lead-lag의 실증연구 file 졸리운_곰 2019.01.27 412
14 IMF 외환위기의 원인과 결과 졸리운_곰 2019.01.27 477